미중 통화정책 탈동조화…위안화 가치 급락세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과 중국의 통화정책 탈동조화(디커플링)가 심화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충격에 뒤늦게 직면한 중국이 경기 부양을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긴축 흐름과 반대로 통화 완화 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위안화 가치가 급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인민은행이 고시한 기준 환율 성격의 중간 환율은 달러당 6.4596위안으로 작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오른 것은 위안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졌음을 뜻한다.
중국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전날 달러당 6.49위안까지 올랐다. 홍콩 역외시장에서는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6.53위안까지 상승했다.
연초까지 초강세를 유지하던 위안화 가치는 4월 들어 심각해진 코로나19 확산에 중국 당국이 적극 경기 부양 의지를 나타내면서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다. 위안화 가치는 최근 한 달 새 약 2%, 최근 1주일 새 약 1% 급락했다.
미중 통화정책의 탈동조화, 상하이 봉쇄 등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중국 경제 피해 급증 등이 위안화 가치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연준은 지난달 3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본격적인 금리 인상 사이클에 돌입했고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해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통화 완화 기조를 더욱 강화하면서 세계 금융질서를 좌지우지하는 연준과 반대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인민은행은 오는 25일 지준율을 0.25%포인트 인하해 약 102조원의 장기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한다.
시장에서는 내달 발표되는 4월 통계부터 상하이 봉쇄 충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도 낮출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반면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포인트 금리 인상, 이른바 "빅스텝" 가능성을 공식화한 것은 물론 물가 안정을 위해 빅스텝을 여러 번 밟을 수도 있다고 시사하면서 초강력 "매파"(통화긴축 선호) 기조로 완전히 돌아섰다.
이러한 미중 통화정책 탈동조화 속에서 미중 10년물 국채금리 격차가 축소되더니 급기야 최근 들어 2010년 이후 12년 만에 미중 국채 금리가 역전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미중 금리 격차 축소나 역전은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중국 내 외국 자본 이탈을 자극하는 요인이 된다.
위안화로 가격이 매겨진 채권이나 주식을 보유한 외국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위안화가 평가절하되면 환차손을 추가로 입게 된다.
따라서 위안화의 급속한 가치 하락은 중국 자본시장에서 채권과 주식 등 자산 투매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위안화 가치를 추가로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거론된다.
실제로 최근 외국 투자자들이 중국 자산을 매각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3월 중국 채권 보유액을 1천125억위안(약 21조4천억원) 줄였다. 2월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보유 중국 채권을 803억위안(약 15조3천억원) 어치 줄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위안화 가치가 추가로 하락하는 가운데 투자자들이 중국 주식도 계속 매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외환중개사 오안다의 제프리 홀리 애널리스트는 SCMP에 "중국 주식이 계속 도전을 받는 가운데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 6.5(위안) 상황이 예상보다 더 빨리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